공채 금액 적게 매입했다면 망한 걸까? 실무자의 진짜 대응법 공유합니다!

-
오른쪽 정렬왼쪽 정렬가운데 정렬
-
-
작게문서 너비옆트임
-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계약금액은 제대로 봤는데… 공채 매입할 때 부가세를 빼지 않고 전체 금액 기준으로 계산했더니,
정작 매입 금액은 기준보다 적게 들어간 겁니다.
공채를 다시 매입할 수 있냐고요? 결론부터 말하면…
👉 대부분의 경우 가능합니다. 단, 담당자랑 먼저 협의부터 하세요.
💥 실수는 누구나 합니다. 중요한 건 '대처 순서'
공공사업 수행해본 분이라면 알 겁니다.
공채 매입은 대금 청구 전 필수 조건이고, 이게 빠지면 대금이 나올 수가 없어요.
그런데 실수로 공채를 덜 매입한 상황. 이걸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사건이 ‘단순 실수’에서 ‘문제 없는 행정 보완’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1. 먼저, 담당자에게 바로 전화하세요
가장 중요한 건 **"문제가 생긴 걸 빨리 알리는 것"**입니다.
숨기거나 나중에 들키면 골치 아파집니다.
예시 멘트
“담당자님, 공채 매입 금액 계산 시 공급가액이 아닌 총액 기준으로 매입해 금액이 부족합니다.
지금 바로 부족분을 추가 매입하고 보완 서류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보통 이런 상황은 보완 제출로 처리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면, 처음부터 아예 매입을 안 한 것도 아니고, 실수로 일부만 빠진 경우니까요.
2. 추가로 필요한 금액만큼만 다시 매입
담당자 OK 사인을 받았다면,
추가로 부족한 만큼만 채권을 다시 매입하세요.
그리고 새로 받은 매입 증서를 기존 제출 자료와 함께 '보완자료'로 재제출하면 됩니다.
3. 실무자의 팁: 계산 기준 절대 착각하지 마세요
- 공채 매입은 공급가액 기준입니다. 부가세 포함 금액 아님!
- 기관마다 매입률은 다르지만, 예를 들어 1.5%라면 이런 식입니다:
| 계약총액 | 275,000,000원 |
| 공급가액 | 250,000,000원 |
| 매입률 | 1.5% |
| → 매입금액 | 3,750,000원 |
실수로 3,000,000원만 매입했다면
→ 750,000원만 추가로 매입하면 됩니다.
✅ 실무자들이 꼭 알아야 할 3가지 요점
- 실수했을 땐 빨리 인정하고 조치
- 담당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제일 중요
- 공급가 기준 계산, 절사 여부까지 꼼꼼히 체크
마무리하며: 이거 혼자 끙끙 앓지 마세요
이런 일이 생기면 괜히 위축되고 “이거 대금 못 받는 거 아냐?” 걱정될 수 있어요.
그런데 행정은 ‘고의성’만 없으면 해결 가능한 일이 대부분입니다.
매입 금액 계산, 꼭 다시 한번 검토하세요.
그리고 매번 실수하지 않도록 매입률, 기준, 공급가/총액 여부를 엑셀에 템플릿으로 저장해두세요.
📌 실무자 추천 아이템
공채 매입 계산할 때마다 “이게 맞나?” 불안하셨다면,
정확한 계산을 도와줄 금융 계산기 하나쯤은 꼭 준비해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도 아래 모델 중 하나 사용 중인데,
실제 공채 매입률 계산이나 공급가액 기준 산정할 때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실수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아래 링크는 쿠팡 파트너스 링크로, 구매 시 소정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에게는 추가 비용이 없습니다 :)
출처 입력
👉 [공채 매입 계산용 금융 계산기 보러가기]
(정품)텍사스인스트루먼트 TI-Nspire CX II CAS 공학용 계산기 한글설명서포함 - 공학용계산기 | 쿠팡
쿠팡에서 (정품)텍사스인스트루먼트 TI-Nspire CX II CAS 공학용 계산기 한글설명서포함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공학용계산기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
www.coupang.com